반응형

Face and Scalp Lacerations

 

얼굴 및 두피 열상 봉합의 원칙 세가지
  • 상처세척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감염을 최소화 
  • Skin edge debridement 최소화 (풍부한 혈류공급이 조직회복을 촉진해 nonviable 같았던 조직도 회복됨)
  • nerve block 또는 topical anesthesia 고려 (local anesthesia가 상처의 해부학적 구조나 wound edge 정렬을 방해할 수 있음) 
 
  • Facial skin : nonabsorable monofilament suture, 경우에 따라 rapidly absorbable suture, tissue adhesives
  • Mucosa and fascial layers : absorbable suture
  • 두피나 얼굴의 열상은 postrepair infection 가능성이 낮아서 (bite wounds 포함) 대개 24시간 이내 primary closure 시행
 
 

 

Scalp and Forehead
  • 혈류가 풍부한 상처에는 작은 혈관들로 인한 출혈을 막기 위해 에피네프린을 포함한 국소마취제를 주로 사용.
  • 두피열상 봉합에서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머리카락을 shaving 해서는 안 됨. 시야확보가 어려울 경우 가위로 자를 것.
  • Galea (머리덮개, 모상)의 열상은 subgaleal hematoma 방지하기 위해 흡수성 봉합사로 봉합을 시행.
  • 이마 열상은 fronatalis m. (이마근, 전두근) 침범 유무에 따라 superficial 또는 deep으로 구분.
  • 눈썹(eyebrow) 열상의 경우 눈썹을 뽑거나 면도하면 안 됨. (눈썹이 wound edges 정렬의 landmarks로 활용)
 
Eyelids
  • 눈꺼풀 열상은 봉합 전에 눈 구조와 기능적인 결함 여부를 확인.
  • 내안각(medial canthus)으로부터 6~8mm 안의 눈꺼풀 손상은 눈물소관 손상(canalicular laceration) 가능성 있음. (특히 medial wall blow out fx. 동반된 경우)
  • 눈꺼풀 열상은 tissue adhesive 사용하지 않음. (각막에 찰과상을 입히거나 눈꺼풀도 같이 붙어버릴 수 있다.)
 
Nose
  • 코 열상에서는 열상의 깊이와 깊은 조직층(deeper tissue layers) 침범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.
  • 코 열상은 연골이 노출되거나 조직 전층을 관통하는 손상이 있을 경우 감염의 위험성이 커진다.
  • 코의 직접적인 blunt trauma 경우 사상판(cribriform plate) 골절 유무 및 뇌척수액 누출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.
 
Ears
  • 외이도의 후벽은 미주신경(vagus n.) auricular branch. 이 부위의 열상을 봉합할 때는 auricular nerve block 시행할 수 없음.
  • 고실내출혈(hemotympanum), 유양돌기의 멍(mastoid area Battle's sign), 귀에서 뇌척수액이 유출되는 경우 basilar skull fx. 가능성.
  • 재건수술 시 필요할 수 있으므로 연골이 손상되어 으깨진 경우 그 조각들을 제거하면 안 됨.
  • 연골을 덮을 피부가 별로 없기 때문에 귀 열상에서 edge debridement 시행하면 안 됨.
  • 열상 봉합 후 perichondral hematoma 예방하기 위해 pressure dressing 시행24시간 내 재평가해서 hematoma 없으면 pressure dressing 제거.
 
Lips
  • 입술 열상 봉합에서 피부와 입술의 붉은 부분의 경계인 홍순경계(vermilion border)가 미용적으로 가장 중요.
  • 입술 열상 봉합 시 trigeminal nerve block 시행할 수 있음.
  • Mucosal lip laceration은 열상이 하나 뿐이고 wounds edges 가 근접해있는 경우에는 봉합할 필요 없음.
  • 상처가 크거나 많이 벌어진 경우 rapidly absorbable 5-0 suture 시행.
  • Wound egde에서 2-3mm 떨어진 곳으로 needle insertion.
  • 홍순경계(Vermilion border) 넘는 상처는 홍순경계의 edges를 정확히 맞추기 위해 6-0 nonabsorbable monofilament로 먼저 봉합하고 그 다음 vermilion과 skin을 같은 실로 각각 봉합. (점막과 근육층은 absorbable 5-0 suture)
 
Intraoral mucosal lacerations
  • 입안 열상은 크기가 작을 경우 대개 저절로 붙음.
  • 음식물이 들어갈 정도로 상처 부위가 크거나 음식물을 씹을 때 방해가 될 정도의 조직 피판이 생긴 경우 봉합 시행.
  • 1% 리도카인을 상처 부위에 떨어뜨리고 5분 후 봉합 시행.
  • 4-0 rapidly absorbing suture. 간격은 5mm 정도.
 
Checks and Face
  • Cheek area 봉합 시 주의해야 할 구조물: parotid duct(second maxillary molar 인접), branches of the facial nerve.
  • 얼굴 마비나 동맥출혈을 동반하는 경우 parotid duct 손상을 의심.
  • 6-0 nonabsorbable monofilament, simple, interrupted percutaneous sutures.
  • full-thickness cheek laceration: mucosa → irrigation → subQ layer (5-0 absorbable) → skin (6-0 non-absorbable or tissue adhesive, adhesive strips) 
 
 

Reference

Tintinalli's Emergency Medicine, 9th edition, chapter 41, p.285~292

 

 

반응형

'의학자료 > Wou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상처봉합 Wound Closure  (0) 2022.12.13
상처의 평가 및 준비  (2) 2022.12.11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