의학자료/Wound
상처의 평가 및 준비
상처의 평가 wound evaluation 비후성 흉터(Hypertrophic scars)는 상처 회복 과정에서 조직장력(tissue tension)이 작용해서 발생하고 켈로이드(Keloids)는 원래의 상처 경계를 넘어서 콜라겐이 지나치게 합성됨으로써 발생. 마취제나 항생제에 대한 부작용 및 알레르기 및 파상풍 예방접종 여부 및 필요성에 대해 확인. 상처를 봉합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과 임상적인 감염과의 연관성은 명확하지 않음. 따라서 일차봉합(primary wound closure)을 결정하기 전에 상처가 발생하고 병원에 올 때까지 소요된 시간은 하나의 참고 인자일 뿐이고, 상처 발생 기전, 상처 부위, 상처 부위의 오염 정도, 환자의 위험인자, 미용적인 부분 등을 고려하여 일차 봉합여부를 결정. 겨드..
2022. 12. 11. 15:23